묵상나눔
이스라엘의 마지막 세지파, 아셀과 납달리 단의 땅분배 내용입니다.
아셀은 레아의 여종 실바가 낳은 아들입니다. .
아버지 야곱이 아셀의 풍요를 축복하였고(창49:20), 모세도 아셀지파의 풍요를 축복했습니다. (신33:24-25)
그러나 자신들이 받은 땅을 온전히 정복하지 못하고 가나안 원주민들과 타협합니다.(사1:31-32)
후에 드보라와 바락의 전투에도 참여하지 않는 소극적인 모습도 보이지요(삿5:17)
신약에 보면 예수님께서 태어나 처음 성전에 올라왔을 때, 그를 알아보고 찬양한 안나라는 여 선지자가 나오는데
그녀가 아셀지파 출신입니다.
납달리는 라헬의 여종 빌하가 낳은 아들입니다.
야곱은 납달리를 놓인 암사슴으로 묘사하며 축복하고 (창49:21), 모세는 은혜와 복이 가득할 것이라 축복합니다.(신33:23)
이들이 분배받은 땅은 신약으로 하면 북부 갈릴리 지역으로 갈릴리 호수 주변에 해당합니다.
굉장히 비옥한 땅을 분배 받은 것이지요. 그러나 이들도 가나안 원주민을 쫓아내지 못하고 그들과 섞여삽니다.
후에 솔로몬이 갈릴리 지역의 성읍 20개를 두로왕 히람에게 줍니다.
이로인해 이방인들과 더욱 혼합하게 되지요.
단도 라헬의 여종 빌하가 낳은 아들입니다.
야곱은 단을 뱀과 같다고 축복합니다.(창49:16-17) 반면 모세는 사자 새끼와 같다고 축복합니다.(신33:22)
이들은 지중해 연안(현재의 텔아비브)을 배정받지만 이곳에서는 블레셋 족속이 있었습니다.
이들을 몰아내지 못하고 이스라엘 제일 북단 라기스까지 가서 그곳에 정착합니다.
믿음 없는 지파의 대표적인 사례이지요.
단지파 출신으로 유명한 사람으로 삼손이 있습니다.
후에 여로보암이 단에 금송아지를 세워 단은 북이스라엘의 우상숭배 중심지가 됩니다.
성경 제일 마지막 요한 계시록에 보면 열두지파의 목록이 나오는데 (계7:4-8) 이때 단 지파의 이름이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 극심한 타락으로 하나님과 완전히 멀어졌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합니다.
세지파 모두 야곱과 모세로 부터 큰 축복을 받았습니다.
민수기에 나온 인구를 봐도 결코 적지 않습니다.
특히 단은 단일지파로는 유다지파 다음으로 인구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가나안 땅을 제대로 차지하지 못했습니다.
스스로 하나님의 축복을 발로 걷어찬 것이지요.
누구는 축복을 축복으로 누리는 반면 어떤 이에게는 축복이 덕담 수준으로 머물러 있습니다.
영적전쟁을 치루지 않는한 복을 누릴 수 없습니다.
이미 우리 손에 생수가 주어졌더라도 들고 마셔야 갈증을 해갈 할 수 있는 법입니다.
여호수아서는 계속해서 신앙의 적극성을 요구합니다. 적극적으로 땅을 차지하라는 것이지요.
내게 주신 몸, 정신, 인격, 가정, 교회, 신내동을 온전히 차지하겠습니다. 전쟁이 그칠때까지
세가지 감사
어머니의 코피가 멈춰서 감사
어제 단기팀이 무사히 잘 도착해서 감사
구정 명절 주심에 감사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
1214 | 여호수아 23:1-16 (혼인도 말고 왕래도 말라?)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2-05 |
1213 | 여호수아 22:21-34 (오해가 다 풀렸을 것입니다)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2-04 |
1212 | 여호수아 22:1-9 (이 말씀이 큰 위로가 됩니다.)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2-02 |
1211 | 여호수아 21:20-45 (장인께서 안식을 얻으셨습니다)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2-01 |
1210 | 여호수아 21:1-19(흩어 뿌려진 거룩한 씨앗) | 김현아 | 2025-01-31 |
1209 | 여호수아 20:1-9 (인본주의적 신본주의)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30 |
1208 | 여호수아 19:24-51 (신앙의 적극성)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9 |
1207 | 여호수아 19:1-23 (땅 분배의 복합적인 요인)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8 |
1206 | 여호수아 18:1-28 (지체하는 이유)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7 |
1205 | 여호수아 17:7-18 (개척할 자유)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6 |
1204 | 여호수아 16:1-17:6 (부동산 개혁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5 |
1203 | 여호수아 15:20-63(순종) | 정대현 | 2025-01-24 |
1202 | 여호수아 15:20-63 (주어진 삶)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4 |
1201 | 여호수아 15:1-19 (이스라엘 역사의 삼자 구도)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3 |
1200 | 여호수아 14:1-15 (개처럼 충성된 자) + 세가지 감사 | 박영모 | 2025-01-22 |
댓글